토지거래허가제는 특정 지역의 부동산 거래를 제한하여 투기를 방지하는 제도입니다.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일정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 해당 구역 내의 토지를 거래할 때 시장, 군수,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1. 토지거래허가제란?
토지거래허가제는 1979년 처음 도입되었으며, 최대 5년까지 지정이 가능합니다. 주요 목적은 투기적 거래를 억제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부동산 시장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 적용 대상: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 및 특정 부동산
- 허가 조건: 실거주 목적 또는 정당한 개발 계획이 있는 경우
- 법적 근거: 헌법 제122조에 따라 정당한 재산권 제한 조치
- 1979년: 토지거래허가제 최초 도입. 부동산 투기 방지를 목적으로 시행
- 1989년: 헌법재판소 합헌 판결. 토지거래허가제가 사유재산권 침해가 아니라는 판결(헌재 1989.12.22, 88헌가1)
- 1997년: 재확인된 합헌 판결. 토지거래허가제가 헌법상의 경제질서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헌재 1997.06.26, 92헌바5)
- 2020년 6월: 6.17 부동산 대책 발표. 강남구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및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 거래 제한
- 2021년 4월: 서울시,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에 토지거래허가제 도입. 주요 재건축·재개발 지역 추가 지정
- 2023년 11월 16일: 일부 해제.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동·대치동·청담동 내 아파트 외 부동산 허가제 해제
- 2024년 4월: 강남3구 및 용산구 허가제 확대 가능성 발표.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추가 조치 검토
- 2025년 9월(예정): 대구경북신공항 관련 토지거래허가구역 유지. 군위군·의성군 일부 지역 유지, 일부 해제 가능성 있음
2. 주요 적용 지역
토지거래허가제는 부동산 투기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주로 적용됩니다. 대표적인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강남구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 송파구 잠실동
- 여의도동 재건축 대상 아파트
- 목동신시가지아파트
3. 실거주 요건 및 예외 사항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주택을 구매하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최종 1주택 요건: 기존 주택을 처분 후 허가제 주택을 매입
- 거주 의무: 잔금일로부터 6개월 이내 입주 및 2년간 실거주
- 예외 사항: 상속, 증여, 경매 등 일부 거래
4. 정책 변화와 논란
토지거래허가제는 실거주자 보호와 투기 방지라는 긍정적 효과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논란도 존재합니다.
- 주거이전의 자유 제한: 강남, 잠실 주민들은 헌법상 사유재산권 침해 주장
- 거래 감소: 80% 이상의 거래량 감소로 인해 시장 경직
- 공무원 월권 논란: 허가 심사 과정에서 주관적 판단 개입

5. 서울시, 일부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결정
서울시는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등 국제교류 복합지구 인근 4개 동의 아파트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조정안은 2월 13일부터 즉시 시행됩니다. 이번 해제 결정은 주택시장 과열 방지를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후 4년이 지나면서, 실거주자와 투자자들의 재산권 및 주거이전의 자유 침해 논란이 지속되었기 때문입니다.
확인 방법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확인방법 2: 서울특별시 부동산 정보광장

1) 해제 대상 지역
- 송파구 잠실동
- 강남구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
- 해당 지역 내 아파트 291곳

2) 재건축·재개발 관련 조정
- 신속통합기획 재건축·재개발 사업지 123곳 중 조합 설립 인가가 완료된 6곳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 내후년까지 총 59곳에 대해 순차적으로 해제 추진
- 재건축 아파트 14곳(은마아파트 포함) 및 국제교류 복합지구 내 일부 지역은 투기 과열 가능성을 이유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유지
-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 등 주요 재건축·재개발 구역은 현행 유지, 단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투기 우려가 낮아지면 해제 추진
3) 토지거래허가제의 배경 및 변화
- 2020년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은 부동산 투기 방지를 위해 도입됨
- 주택 거래 시 구청장 허가 필요, 2년 실거주 목적 매매만 허용하여 갭투자 방지
- 시간이 지나면서 시장 안정 효과 감소 및 재산권 침해 민원 증가
- 이번 조치는 규제 완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됨
4) 앞으로의 전망
- 서울시는 이번 조정을 시작으로 부동산 시장 변화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추가 해제 또는 재지정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단기적으로 부동산 거래 활성화가 예상되지만, 가격 급등 시 재규제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안은 2월 13일 공고 후 즉시 효력 발생하며, 추가적인 변동 사항이 나오면 공식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제의 확대 또는 폐지를 검토 중이며, 강남3구와 용산구를 대상으로 한 전면 허가제 도입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6. 마무리
토지거래허가제는 부동산 투기를 방지하고 실수요자를 보호하는 데 기여하지만, 정책적 완급 조절이 필요한 제도입니다.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며, 실거주 및 투자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