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룡 용어 총정리 – 1편부터 8편까지 핵심 개념 한눈에 보기

by mouthy 2025. 4. 8.
반응형

고생물학은 생명체의 기원을 밝히고, 고대 생태계의 복잡한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과학입니다. 하지만 공룡과 관련된 정보는 대부분 화석이라는 제한된 자료에 의존하고 있어, 정확한 해석과 용어의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 블로그 시리즈에서는 공룡 연구에서 필수적인 전문 용어들을 총 8편에 걸쳐 다뤘습니다. 이제 그 여정을 요약 정리하며, 각 편에서 다룬 내용을 핵심적으로 되짚어보겠습니다.


1편. 형태·해부학 용어

 

공룡의 외형을 이해하기 위해 뼈의 명칭, 신체 구조, 관절의 기능 등 해부학적 요소를 다뤘습니다. 정강뼈, 견갑골, 치골 등 공룡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기본 용어와 그 위치, 기능을 설명했으며, 이들이 운동성과 먹이 습성 해석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강조했습니다. 1편: 형태·해부학 용어의 공룡 관련 주요 용어를 정리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용어들은 공룡의 몸 구조를 분류하고 기능을 해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분류 대표 용어(한글) 대표 용어(영문) 간단 설명
머리 구조 두개골, 안와, 주둥이 Skull, Orbit, Rostrum 머리뼈와 눈구멍, 코와 입이 있는 앞부분
몸통 구조 척추, 늑골, 흉곽 Vertebrae, Ribs, Rib cage 등뼈와 갈비뼈, 내부 장기 보호 구조
골반 구조 장골, 치골, 좌골 Ilium, Pubis, Ischium 골반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 뼈
사지 구조 대퇴골, 경골, 상완골 Femur, Tibia, Humerus 앞뒤다리의 중심 뼈대
발 구조 지골, 발톱, 족궁 Phalanges, Claw, Metatarsal 발가락 뼈, 발톱 구조
보행 방식 이족보행, 사족보행 Bipedal, Quadrupedal 두 발 또는 네 발로 걷는 방식
기타 구조 꼬리척추, 기낭 Caudal Vertebrae, Air sac 꼬리뼈와 호흡에 연관된 내부 공기관

 

형태·해부학 용어(1편)

 


2편. 분류·계통 용어

 

공룡은 다양한 계통으로 나뉘며, 이를 분류하기 위한 과학적 기준이 존재합니다. ‘용반목’, ‘조반목’ 등 주요 분류군 소개와 함께, 단계통(monophyletic), 측계통(paraphyletic) 같은 계통 분류학 용어를 정리했습니다. 또한 계통수를 그리는 방식과 진화적 거리 개념도 함께 다뤘습니다. 2편. 분류·계통 용어에서 사용된 공룡과 고생물의 분류학·계통학 관련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분류학(taxonomy) – 생물의 명명과 분류 체계
  2. 계통학(phylogenetics) – 생물의 진화적 관계를 분석하는 학문
  3. 이명법(binomial nomenclature) – 속명 + 종명의 학명 표기 방식 (예: Tyrannosaurus rex)
  4. 속(genus) – 유사한 종들이 묶인 분류 단위
  5. 종(species) –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
  6. 상위 분류군(higher taxa) – 과, 목, 강, 문, 계 등의 상위 범주
  7. 공통 조상(common ancestor) – 둘 이상의 생물이 공유하는 조상
  8. 분기(branching) –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된 진화 경로
  9. 형질(character) – 분류와 계통 분석에 사용되는 생물의 특징
  10. 공유 조상 형질(shared derived traits) – 특정 그룹만이 가진 고유한 진화적 특징
  11. 계통수(phylogenetic tree) – 진화 관계를 나무 형태로 나타낸 도식
  12. 클래디스트리(cladistics) – 공통 조상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 방식
  13. 분기도(cladogram) – 형태적 유사성에 따라 계통을 나눈 구조
  14. 단일계통(monophyletic group) – 공통 조상과 모든 자손을 포함한 분류군
  15. 측계통(paraphyletic group) – 조상은 공유하나 일부 자손이 빠진 그룹
  16. 다계통(polyphyletic group) – 공통 조상이 아닌 유사성 기반의 집합
  17. 진화적 거리(evolutionary distance) – 두 생물 간의 유전적·형태학적 차이
  18. 수렴 진화(convergent evolution) – 유사 환경에서 다른 생물이 비슷한 형태를 갖는 현상
  19. 동일 구조(homologous structure) –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유사 구조 (예: 팔 → 날개)
  20. 수렴 구조(analogous structure) – 기능은 같지만 기원이 다른 구조 (예: 익룡 날개 vs 박쥐 날개)
  21. 기초적 공룡(basal dinosaur) – 계통 상 초기 위치에 있는 원시적 공룡
  22. 고유 진단 특징(diagnostic traits) – 특정 종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독특한 특징
  23. 형태학적 분석(morphological analysis) – 구조를 중심으로 한 비교 연구
  24. 해부학적 구조(anatomical structure) – 신체 내부 구성에 따른 분류 요소
  25. 유사 종(closely related species) – 진화적으로 가까운 생물 간 비교 대상
  26. 조류의 공룡 기원(birds are dinosaurs) – 조류가 수각류에서 진화했다는 계통학 이론
  27. 아르카이옵테릭스(Archaeopteryx) – 공룡과 조류의 중간 연결고리
  28. 진화적 전이(evolutionary transition) – 특정 계통에서 새로운 그룹이 분화되는 과정
  29. 명명 규칙(ICZN) – 국제동물명명규약, 동물 이름 부여 규정
  30. 기술 논문(description paper) – 새로운 종을 명명하고 특징을 기술하는 공식 문서

이 용어들은 공룡을 정확히 분류하고 진화적 위치를 해석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들로, 학술 연구뿐 아니라 대중 과학 콘텐츠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용어들입니다. 

 

분류·계통 용어(2편)


3편. 시대·지질 용어

 

공룡이 살았던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 지질 시대의 구분과 특징을 설명했습니다. 현생누대-중생대-트라이아스기/쥐라기/백악기 등의 시간 구조를 바탕으로, 각 시기의 기후, 생물 군집 변화, 대륙 이동의 흐름을 정리하였고, 지질 시대 구분의 기준인 대멸종, 생물군 변화를 함께 설명했습니다. 3편. 시대·지질 용어에서 사용된 공룡과 관련된 지질 시대 핵심 용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1. 지질 시대(Geologic Time Scale) – 지구 역사를 시간 단위로 나눈 체계
  2. 누대(eon) – 지질 시대 중 가장 큰 시간 단위 (예: 현생누대)
  3. 대(era) – 누대의 하위 단위, 생물권의 대변동 기준 (예: 중생대)
  4. 기(period) – 대의 하위 단위, 퇴적암/화석 구분 기준 (예: 쥐라기)
  5. 세(epoch) – 비교적 최근 시기의 정밀 시간 단위
  6. 현생누대(Phanerozoic) – 다세포 생물이 번성한 시기, 공룡과 인류 포함
  7. 중생대(Mesozoic Era) – 공룡의 등장과 번성, 멸종이 있었던 대
  8. 트라이아스기(Triassic) – 공룡의 초기 출현, 판게아 존재
  9. 쥐라기(Jurassic) – 대형 공룡의 번성, 초대륙 분열 시작
  10. 백악기(Cretaceous) – 공룡 다양화, 속씨식물 출현, 대멸종 발생
  11. 신생대(Cenozoic Era) – 포유류 번성, 인류 출현의 시기
  12. 고생대(Paleozoic Era) – 무척추동물·어류·양서류 등장, 생명의 폭발
  13. 지층(stratum) – 지질학적으로 쌓인 퇴적층
  14. 화석 기준(fossil marker) – 특정 지층을 구분하는 대표 생물 화석
  15. 판게아(Pangaea) – 중생대 초의 단일 초대륙
  16. 대륙 이동(continental drift) – 판 구조론에 따른 지각 이동
  17. 대멸종(mass extinction) – 지질 시대의 주요 경계 기준 사건
  18. 속씨식물(angiosperm) – 백악기에 등장한 꽃 피는 식물
  19. 공룡 등장 시기 – 약 2억 3천만 년 전 트라이아스기 말
  20. K-T 멸종(K–Pg boundary) – 백악기와 신생대 경계의 대멸종
  21. 화산 활동(volcanism) – 지구 환경 변화의 원인 중 하나
  22. 소행성 충돌(asteroid impact) – 공룡 멸종의 주된 가설
  23. 기후 변화(climate change) – 생물 분포 변화의 핵심 요인
  24. 해양 확장(sea level rise) – 백악기 환경 변화의 특징
  25. 초대륙 분열(continental rifting) – 트라이아스기~쥐라기의 대륙 분리
  26. 유카탄 충돌체(Yucatan impactor) – 백악기 말 충돌 지점
  27. 시베리아 트랩(Siberian Traps) – 대규모 화산 활동지
  28. 데칸 트랩(Deccan Traps) – 인도 지역의 화산활동, 멸종 원인 중 하나
  29. 화석 분포(fossil distribution) – 지질 시대 구분의 주요 자료
  30. 고환경 복원(paleoenvironment reconstruction) – 과거 환경 추정 작업

 

이 용어들은 공룡이 등장하고 번성했던 중생대의 시기별 변화와 그 생태적 배경, 그리고 지질 시대 구분의 원리를 설명하는 핵심 단어들입니다. 

 

† 누대(Eon) - 가장 큰 시간 단위

 대(Era) - 누대보다 작은 단위, 일반적으로 생물권의 큰 변화 기준

 기(Period) - 대를 더 세분화한 단위, 주로 퇴적암의 구분에 따라 나뉨

 세(Epoch) - 비교적 최근의 정밀한 시간 구분

 

 



시대·지질 용어(3편)


4편. 화석·출토 용어

 

공룡 연구의 기반이 되는 화석을 중심으로, 몸체 화석과 생흔 화석의 차이, 화석화 과정(광물 치환, 탄화, 주형/복형, 냉동 보존), 발굴 방법과 층위 분석, 출토 정보 기록의 중요성을 다뤘습니다. GPS 기록, 지층 좌표, 표본 번호 부여 등 실무적인 연구 절차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4편. 화석·출토 용어에서 사용된 공룡 및 고생물학 관련 주요 용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1. 화석(fossil) – 과거 생물의 유해 또는 흔적이 지층 속에 보존된 것
  2. 몸체 화석(body fossil) – 뼈, 이빨, 껍질 등 생물의 실제 몸 일부
  3. 생흔 화석(trace fossil) – 발자국, 배설물, 둥지 등 행동의 흔적
  4. 광물 치환(permineralization) – 조직에 광물이 침투하여 석화되는 과정
  5. 탄화(carbonization) – 유기물이 압력·열에 의해 탄소막 형태로 보존
  6. 주형·복형(mold & cast) – 생물 외형이 남은 인상과 그것의 복제품
  7. 냉동 보존(freezing) – 낮은 온도로 인해 거의 원형 보존된 화석
  8. 호박 포함(amber preservation) – 곤충 등 소형 생물이 수지 속에 갇혀 보존
  9. 퇴적암(sedimentary rock) – 화석이 주로 발견되는 암석 종류
  10. 지층(stratum) – 퇴적층의 단위, 상대적 연대 측정 기준
  11. 출토 위치(context) – 화석이 발견된 장소와 지층 배경 정보
  12. 상대 연대(relative dating) – 지층의 상하 위치로 연대를 추정
  13. 절대 연대(absolute dating) – 방사성 동위원소로 정확한 연대 계산
  14. 탄소-14(C-14) – 비교적 최근 연대 측정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 원소
  15. 우라늄-납(U-Pb) – 오래된 지층 연대 측정에 사용되는 방식
  16. 생층서(biostratigraphy) – 화석 분포를 이용해 지층을 나누는 방법
  17. 표본 번호(specimen number) – 고유 식별을 위한 등록 번호
  18. 유형표본(holotype) – 특정 종을 대표하는 기준 화석
  19. 복제 주형(replica/mold cast) – 원본 화석을 본떠 만든 복제품
  20. 석고 포장(plaster jacket) – 발굴 시 파손 방지를 위해 화석을 감싸는 방법
  21. 3D 스캔(3D scanning) – 화석을 디지털로 기록하고 보존하는 기술
  22. 디지털 보존(digital archiving) – 화석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연구 공유
  23. 위성사진 활용(remote sensing) – 발굴 전 지형 조사에 사용하는 기법
  24. 지중 레이더(ground-penetrating radar) – 땅속 구조를 파악하는 장비
  25. 사전 조사(preliminary survey) – 발굴 전 이뤄지는 문헌 및 현장 분석
  26. 위치 기록(GPS tagging) – 화석 발견 지점을 정확히 좌표로 기록
  27. 출토 기록(context data) – 발견 위치, 층위, 자세 등 모든 정보의 기록
  28. 발굴 현장(field site) – 실제 화석이 발견되는 자연 환경
  29. 과학적 문서화(documentation) – 발견 이후 모든 데이터를 정리하는 작업
  30. 박물관 등록(museum curation) – 화석이 공식 수장되는 과정

이 용어들은 공룡 화석이 발견되고 연구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다루며, 실전 고생물학과 교육 현장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화석·출토 용어(4편)

 


5편. 생태·행동 용어

 

공룡의 생존 방식과 사회적 행동에 대한 용어를 중심으로, 생태적 지위, 무리 생활, 둥지와 번식 습성, 보행 속도 및 패턴, 먹이 습성 등을 다뤘습니다. 알의 배열, 발자국의 방향, 배설물 속 내용물 분석을 통해 공룡의 생태와 행동을 유추하는 기법들을 소개했습니다.

5편. 생태·행동 용어에서 사용된 공룡 관련 주요 용어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1.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 생물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역할
  2. 생물 군집(community) – 한 지층 또는 지역에서 함께 서식한 생물들
  3. 포식자(predator) – 다른 생물을 잡아먹는 공룡 (예: 티라노사우루스)
  4. 초식자(herbivore) – 식물을 주로 섭취한 공룡 (예: 트리케라톱스)
  5. 잡식성(omnivore) – 식물과 고기를 모두 섭취한 가능성 있는 공룡
  6. 무리 생활(herding behavior) – 여러 개체가 함께 이동하거나 생활
  7. 발자국 화석(track fossil) – 보행 습성과 무리 이동의 증거
  8. 둥지(nest) – 알을 낳고 보호한 장소
  9. 알(nesting egg) – 공룡의 번식 흔적
  10. 육아 행동(parental care) – 새끼를 돌보았다는 생태적 해석
  11. 성장 단계별 화석(ontogenetic series) – 새끼~성체까지의 연속 화석
  12. 트랙웨이(trackway) – 연속된 발자국, 무리 이동·속도·방향 해석
  13. 보행 방식(locomotion) – 이족보행, 사족보행 등 이동 형태
  14. 이족보행(bipedal) – 두 발로 걷는 방식 (대부분 수각류)
  15. 사족보행(quadrupedal) – 네 발로 걷는 방식 (예: 장경룡)
  16. 움직임 방향성(directionality) – 환경 변화에 따른 반응 패턴
  17. 보행 속도(gait speed) – 발자국 간 거리로 유추
  18. 식성(diet) – 공룡이 어떤 먹이를 섭취했는지
  19. 이빨 구조(teeth morphology) – 식성과 관련된 해부학적 특징
  20. 턱 관절(jaw mechanics) – 씹기 방식과 근육 기능 추정
  21. 코프로라이트(coprolite) – 화석화된 배설물, 식단 분석의 단서
  22. 위석(gastrolith) – 식물 소화를 돕는 돌, 초식 공룡에게 흔함
  23. 서식 환경(habitat) – 공룡이 살던 지역의 기후 및 지형
  24. 습지(swamp adaptation) – 물가 환경에 적응한 공룡의 특성
  25. 건조 지대(adaptation to arid zones) – 사막 또는 메마른 환경 적응
  26. 방어 전략(defensive traits) – 뿔, 골편, 꼬리 망치 등
  27. 위장술(camouflage) – 색상이나 패턴으로 환경에 녹아드는 전략
  28. 깃털(feathers) – 체온 조절 또는 과시적 기능으로 추정
  29. 경쟁(niche competition) – 생존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 생물 간 관계
  30. 생존 전략(survival strategy) – 환경 변화에 맞춘 적응 방식

이 용어들은 공룡의 생태와 사회적 행동, 환경 적응을 해석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들입니다. 

 

 

생태·행동 용어(5편)


6편. 발견·연구 용어

 

공룡 연구의 실질적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출토 위치(Context), 층위(Stratigraphy), 표본 등록 절차, 보존 기술, CT 스캔·3D 복원·AI 분석 등 현대 기술의 도입, 고유전체학이나 지구화학 분석 등 융합 학문과의 연계까지 폭넓게 다뤘습니다. 6편. 발견·연구 용어 블로그에서 사용된 공룡 관련 주요 용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출토(context) – 화석이 발견된 정확한 위치와 지질적 배경
  2. 층위(stratum/stratigraphy) – 지층 내 수평 퇴적 단위
  3. 생층서(biostratigraphy) – 화석 분포로 지층 연대 추정
  4. 표본 번호(specimen number) – 기관에서 부여한 고유 식별번호
  5. 유형표본(holotype) – 종을 정의하는 대표 표본
  6. 부유형표본(paratype) – 유형표본을 보조하는 설명용 표본
  7. 보존 방식(preservation method) – 실물, 주형, 디지털 등 보관 형태
  8. 3D 스캔(3D scan) – 화석을 디지털화하여 정밀 보존하는 기술
  9. 디지털 복원(digital modeling) – 3D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원하는 작업
  10. 상대 연대(relative dating) – 지층 위치로 연대 유추
  11. 절대 연대(absolute dating) – 방사성 동위원소로 수치화된 연대 측정
  12. 방사성 동위원소(radiometric isotope) – 탄소-14, 우라늄 등 연대 측정에 사용
  13. 연대 오차 범위(error margin) – 측정값의 불확실성
  14. 기록 보존(metadata) – 채집 위치, 지질 정보, 채집자 등 부가 정보
  15. CT 스캔(computed tomography) – 비파괴 방식으로 내부 분석
  16. 화석 트랙 분석(track analysis) – 발자국을 통한 보행 특성 해석
  17. 해석 도구(analytical tools) – 데이터 처리 및 복원에 사용되는 기술
  18. AI 분류(AI classification) – 화석 자동 분류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19. 지구화학 분석(geochemical analysis) – 이소토프 분석 등을 통한 환경 유추
  20. 고유전체학(paleogenomics) – 고대 생물의 DNA를 추출해 분석
  21. 융합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 – 생물학·지질학·컴퓨터 과학의 통합
  22. 기술 논문(description paper) – 공식 종 명명 및 해석을 담은 학술 논문
  23. 국제 학술 규정(ICZN) – 동물 분류명 명명 규칙을 정한 국제 규약
  24. 오픈 액세스(open access) – 데이터나 모델이 공개된 연구 구조
  25. 글로벌 데이터베이스(global database) – PBDB 등 공룡 화석 통합 자료 저장소

 

이 용어들은 공룡 화석의 발견 → 기록 → 분석 → 학술화 전 과정을 구성하는 핵심 개념들입니다. 특히 연구자, 학생, 일반 독자를 위한 교육 콘텐츠에도 자주 쓰이는 핵심 어휘이니 정리하여 활용하시기 좋습니다. 

 



발견·연구 용어(6편)


7편. 해석·추정 용어

 

뼈에서 외형, 행동, 생태까지 어떻게 추정하는지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생김새 복원, 행동 추정, 기능 해석, 생태 모형, 계통 분석의 개념을 설명하고, 복원이 항상 가설적임을 인식해야 한다는 과학적 태도를 강조했습니다. 7편. 해석·추정 용어 블로그에서 언급되거나 중심 개념으로 쓰인 공룡 관련 주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복원(reconstruction) – 뼈를 바탕으로 외형이나 체형을 재현하는 작업
  2. 근육 추정(muscle reconstruction) – 근육 부착 흔적을 근거로 체형 복원
  3. 깃털/피부 복원(skin/feather inference) – 보존 화석 또는 유사 종 비교
  4. 멜라노좀(melanosome) – 피부 색소 구조, 색상 복원의 단서
  5. 행동 추정(behavioral inference) – 발자국, 배설물 등을 통한 행동 유추
  6. 트랙웨이(trackway) – 연속된 발자국으로 움직임 해석
  7. 코프로라이트(coprolite) – 화석 배설물, 먹이 구성 추론
  8. 둥지 구조(nesting behavior) – 번식 습성과 부모 행동 유추
  9. 기능 형태학(functional morphology) – 형태에 기반한 기능적 해석
  10. 이빨 구조(teeth shape) – 식성 분석(초식, 육식, 잡식 등)
  11. 앞다리/발톱 구조(limb & claw use) – 사냥, 방어 등 기능 유추
  12. 골판, 뿔 구조(plates, horns) – 방어, 과시, 체온 조절 추정
  13. 생태 복원(ecological modeling) – 서식지, 무리생활 등 환경 유추
  14. 위장/은폐(camouflage) – 피부 무늬를 통한 포식자 회피 전략
  15. 계통 분석(phylogenetic analysis) – 진화적 위치 파악
  16. 형태학적 비교(morphological comparison) – 구조 간 유사성 분석
  17. 클래디스트리(cladistics) – 분기학적 분류 체계
  18. 계통수(phylogenetic tree) – 공룡 간 진화적 연관성을 시각화
  19. 공통 조상(common ancestor) – 진화적 출발점
  20. 수렴 진화(convergent evolution) – 구조는 비슷하지만 다른 진화 경로
  21. 해석의 불확실성(interpretive uncertainty) – 복원은 가설임을 강조
  22. 추론 기반 과학(inference-based science) – 직접 증거가 아닌 간접 추정
  23. 증거 기반 복원(evidence-based reconstruction) –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재현
  24. 변수 요소(interpretive variable) – 환경, 보존, 개체 차이로 인한 해석 다양성
  25. 후속 검증(revision) – 새로운 증거에 따라 복원이 수정됨

 



해석·추정 용어(7편)

 


8편. 비교·기술 용어

 

화석 기술에 사용되는 정확한 언어의 중요성을 정리했습니다. 측정치, 형태 묘사, 라틴어 기반 용어의 표준화, 진단 특징의 구성 방식, 종명 기술 시 필요한 비교 기준 등을 제시하며, 학술 규약(ICZN 등)의 실천적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8편(비교·기술 용어) 블로그 전체에서 공룡에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용어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종(species) – 공룡 분류 단위로 가장 많이 쓰임
  2. 속(genus) –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명명 체계에서 사용
  3. 신종(new species) – 새로 발견된 공룡에 적용
  4. 진단 특징(diagnostic features) – 특정 공룡만의 구별 기준
  5. 형태 특징(morphological traits) – 공룡의 생김새나 구조
  6. 비율비(comparative ratio) – 다리 길이 vs 몸통 등
  7. 이빨 구조(teeth shape) – 초식/육식 여부 판단
  8. 골격(skeleton) – 공룡 전체 뼈 구조
  9. 두개골(skull) – 머리뼈로 식성, 크기 추정
  10. 앞다리/뒷다리(forelimb/hindlimb) – 걷는 방식 관련
  11. 발자국(footprint) – 행동 해석의 주요 단서
  12. 배설물 화석(coprolite) – 먹이 유추 가능
  13. 깃털/비늘(feathers/scales) – 표피 복원 관련
  14. 장식 구조(display features) – 볏, 뿔 등 과시적 형태
  15. 체온 조절(thermoregulation) – 골판 등의 기능적 해석
  16. 계통수(phylogenetic tree) – 공룡 간 진화적 관계
  17. 유형 표본(holotype) – 특정 공룡의 대표 표본
  18. 수렴 진화(convergent evolution) – 날개 등 유사한 구조
  19. 익룡(pterosaur) – 공룡과 혼동되나 별도 계통
  20. 조류(avian dinosaurs) – 수각류 공룡에서 진화한 계통

 



비교·기술 용어(8편)


🔚 마무리

 

공룡은 단순한 상상 속 생물이 아닌, 과학적으로 접근 가능한 존재입니다. 그러나 그 해석의 출발점은 언제나 정밀한 용어와 개념에서 시작합니다. 이 블로그 시리즈가 공룡을 이해하는 데 단단한 기초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는 각 개별 공룡을 다루며, 이 용어들이 실제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실례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