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튭이온배터리,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용량 개수 기준 계산방법
여행이나 출장을 갈 때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휴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보조배터리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보조배터리의 기내반입 기준을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배터리 종류, 용량, 개수의 기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1. 위탁 수하물과 기내 휴대 차이
기본적으로 AA, AAA 같은 알카라인 건전지는 위탁 수하물로 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된 보조배터리는 화재 위험으로 인해 반드시 기내 휴대해야 합니다. 단, 기내반입 시에도 용량 및 개수 제한이 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 알카라인 건전지: 위탁 수하물 가능
- 리튬이온 배터리: 기내 휴대 필수, 용량 및 개수 제한 적용
2.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용량 및 개수 제한
아래 정보는 항공보안365가 출처입니다.
■ 공통사항
(1) 보안 검색 및 추가 제한 가능성
- 공항 보안검색 담당자 또는 항공사가 위험 요소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반입 제한 가능.
- 국토교통부의 "항공위험물 운송기술기준"을 따름.
- 유독성·화학성 물질 포함 여부 확인 필요.
(2) 배터리 용량 환산 공식
- Wh(와트시) = mAh × 전압(V) ÷ 1000
- (예: 배터리 전압이 3.8V일 경우, 10,000mAh → 38Wh)
(3) 추가 참고 사항
- 공항 및 항공사별 규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 확인 필수.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제출 시 특정 화학물질 반입 가능.
👉 보조배터리 반입 전, 해당 항공사의 공식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1) 보조 리튬이온 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정리
(1) 기내 휴대 가능 여부
- 가능: 단, 배터리 전극을 절연 처리하거나 비닐 백 등으로 단일 포장해야 함.
- 불가능: 위탁 수하물(부치는 짐)로 반입 불가.

(2) 개수 제한
- 최대 5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6개 이상 반입 시 항공사 승인 필요.
- 중국 항공사 이용 시 1인당 최대 2개까지만 허용.
(3) 배터리 용량 제한
- 약 42,100mAh(휴대폰용 기준)를 초과하는 배터리는 반입 불가.
- 배터리 용량은 Wh(와트시)로 변환하여 확인 필요.
- 변환 공식: Wh = mAh × 전압(V) ÷ 1000
(예: 휴대폰 배터리 전압이 3.8V일 경우, 10,000mAh → 38Wh)

2) 여분 리튬이온 배터리(100Wh 이하) 기내 반입 규정 정리
(1) 기내 휴대 가능 여부
- 가능: 1인당 최대 5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6개 이상 반입 시 항공사 승인 필요.
- 위탁 수하물(부치는 짐)로 반입 불가.

(2) 배터리 안전 조치
- 배터리 전극 부분을 절연 처리해야 함.
- 단락 방지를 위해 개별 포장 필요.

3) 여분 리튬이온 배터리(100Wh~160Wh) 기내 반입 규정 정리
(1) 기내 휴대 가능 여부
- 가능: 항공사 승인 후 최대 2개까지 반입 가능.
- 위탁 수하물(부치는 짐)로 반입 불가.
(2) 배터리 안전 조치
- 배터리 전극 부분을 절연 처리해야 함.
- 단락 방지를 위해 개별 포장 필요.

4) 전자장비에 장착된 리튬이온 배터리(100Wh 이하) 반입 규정 정리
(1) 기내 휴대 및 위탁 수하물 가능 여부
- 기내 휴대 가능
- 위탁 수하물 가능

(2) 적용 대상
- 일반용 및 의료용 전자장비에 장착된 배터리 포함
- 100Wh 이하의 경우 반입 가능

5) 전자장비에 장착된 리튬이온 배터리(100Wh 초과~160Wh 이하) 반입 규정 정리
(1) 기내 휴대 및 위탁 수하물 가능 여부
- 기내 휴대 가능 (항공사 승인 필요)
- 위탁 수하물 가능 (항공사 승인 필요)

(2)반입 조건
- 100Wh 초과 160Wh 이하의 배터리가 장착된 전자장비
- 항공사 승인 필수
6) 전자장비에 장착된 리튬이온 배터리(160Wh 초과) 반입 규정 정리
(1) 기내 휴대 및 위탁 수하물 가능 여부
- 기내 휴대 불가
- 위탁 수하물 반입 불가

(2) 반입 금지 사유
- 항공기 안전 및 화재 위험으로 인해 160Wh 초과 배터리는 반입 불가
3.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방법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mAh(밀리암페어시)로 표기되지만, 기내 반입 기준은 Wh(와트시)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아래 공식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Wh = (mAh × V) / 1000
예를 들어, 10,000mAh, 3.7V의 배터리는 (10,000 × 3.7) / 1000 = 37Wh로 계산됩니다.
보조배터리 용량 (mAh) | 기내 반입 가능 여부 | 기내 반입 개수 제한 |
27,000mAh 이하 | O (승인 불필요) | 최대 5개 (대한항공 최대 20개) |
27,000~44,000mAh | O (항공사 승인 필요) | 최대 2개 |
44,000mAh 초과 | X | X |
4. 추가적인 배터리 관련 중요한 사항 정리
(1) 배터리의 안전 조치
- 배터리 전극 부분을 절연 처리(테이프 부착 등) 해야 함.
- 개별 포장(비닐 백, 보호 케이스 등) 필수.
- 배터리가 손상되었거나 부풀어 오른 경우 반입 금지.
(2) 배터리 용량 계산 공식
- Wh(와트시) = mAh × V(전압) ÷ 1000
- (예: 배터리 전압이 3.8V일 경우, 10,000mAh → 38Wh)
(3) 위탁 수하물 반입 제한 이유
- 리튬 배터리는 화재 위험이 높아 위탁 수하물 반입이 제한됨.
- 위탁 수하물에 배터리를 넣었을 경우 검색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음.
(4) 배터리 관련 항공사 및 국가별 규정 차이
- 항공사별로 반입 가능 개수 및 승인 여부가 다를 수 있음.
- 중국, 일본, 미국 등 일부 국가는 보다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음.
- 탑승 전에 반드시 항공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규정을 확인해야 함.
(5) 보안 검색 과정에서의 추가 확인 가능성
- 보안검색 담당자가 배터리 상태를 검사할 수 있음.
- 특정 전자기기의 경우 배터리를 분리하여 검사할 수 있음.
(6) 특수 배터리(의료용·산업용) 반입 규정
- 일부 의료용 장치(예: 인공심박기, 의료용 모니터) 장착 배터리는 예외적으로 반입 가능.
- 반드시 사전 승인 및 증빙 서류 필요(MSDS 등).
(7) 배터리 사용 시 주의 사항
- 기내에서 충전 중 과열 시 즉시 플러그를 제거해야 함.
- 좌석에서 충전 중 배터리가 떨어지거나 끼었을 경우 승무원에게 즉시 알릴 것.
- 기내에서는 강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중요.
👉 항공사 및 공항별로 세부 규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5. 마무리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 필수이며, 용량 및 개수 제한이 있습니다. 이를 미리 확인하고, 공식 계산법을 활용해 내 보조배터리가 반입 가능한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손상된 배터리는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을 피하고, 항공사별 규정을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공식 정보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보조배터리 및 리튬이온 배터리 기내 반입 FAQ
1)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로 부칠 수 있나요?
- 아니요. 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 화재 위험으로 인해 위탁 수하물(부치는 짐)로 반입이 금지됩니다. 반드시 기내 휴대해야 합니다.
2) 기내에서 반입 가능한 보조배터리 개수는 몇 개인가요?
- 100Wh 이하: 일반적으로 최대 5개까지 가능, 대한항공의 경우 최대 20개 가능(6개 이상은 항공사 승인 필요).
- 100Wh 초과 160Wh 이하: 최대 2개까지 가능(항공사 승인 필요).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반입 금지.
3) 보조배터리의 용량(Wh)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Wh(와트시) = mAh × V(전압) ÷ 1000
- 예) 10,000mAh 배터리(3.8V) → (10,000 × 3.8) ÷ 1000 = 38Wh
- 보조배터리에 **mAh(밀리암페어시)**만 표시된 경우, 전압(V)을 확인한 후 위 공식을 이용해 계산해야 합니다.
4) 전자기기에 장착된 배터리도 개수 제한이 있나요?
- 100Wh 이하: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가능(제한 없음).
- 100Wh 초과 160Wh 이하: 항공사 승인 후 기내 반입 및 위탁 가능(개수 제한 없음).
- 160Wh 초과: 기내 및 위탁 수하물 반입 불가.
5) 배터리 전극을 절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배터리 단락(Short Circuit)으로 인해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테이프를 사용해 **단자를 덮거나, 개별 포장(비닐, 보호 케이스 등)**을 해야 합니다.
6) 중국 등 특정 국가에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이 다른가요?
- 중국 항공사 이용 시 보조배터리 반입 개수가 1인당 2개까지로 제한될 수 있음.
- 일부 국가(미국, 유럽 등)에서는 배터리 보안 검사가 강화될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함.
7)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나요?
- 네, 사용 가능하지만 주의가 필요합니다.
- 충전 시 과열되는 경우 즉시 플러그를 제거해야 함.
- 좌석 사이에 배터리가 끼였을 경우 절대 강제로 꺼내지 말고 승무원에게 요청해야 함.
8) 의료용 또는 산업용 리튬이온 배터리도 같은 규정을 적용받나요?
- 일반적으로 예외 규정이 적용될 수 있음.
-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제출이 필요할 수 있음.
- 항공사에 사전 문의 후 승인 절차를 거쳐야 반입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