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내일채움공제, 3년형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3년 근무로 최소 1,224만원 모으는 법!

mouthy 2025. 2. 11. 09:43
반응형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면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3년형 내일채움공제’입니다. 기존 5년형에서 가입 기간을 3년으로 단축하여 근로자와 기업 모두 부담을 줄이면서도 높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제 상품입니다.

 


1. 3년형 내일채움공제란?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근로자가 장기 근속하며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금융 상품입니다.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만기 시 근로자가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의 금액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2. 3년형 내일채움공제의 주요 혜택

 

3년형 내일채움공제는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가입 기간을 단축해 부담을 줄였습니다. 근로자는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인 최소 1,224만 원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기업은 세액공제와 중소기업 지원사업 선정평가에서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는 안정적인 재직을 유지하며 경력과 재정적 기반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가입 기간 3년: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되어 부담 경감
  • 최소 1,224만원 보장: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의 금액을 지급
  • 세제 혜택: 기업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중소기업 지원사업 선정평가 시 우대
  • 근로자의 장기 재직 유도: 안정적인 재직을 통해 경력과 재정적 기반 확보


3. 3년형 내일채움공제 가입 방법

 

가입을 원하는 기업과 근로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신청하면 됩니다.

월 최소 납입금은 34만원으로, 가입 전에 기업 대표와 근로자가 협의해야 합니다.

 

구분 은행명
시중은행 (8개) 국민, 기업, 신한, 스탠다드차타드(SC), 외환, 우리, 하나, 한국씨티
지방은행 (6개) 경남,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제주
특수은행 (6개) 농협중앙회, 산업은행, 수협중앙회, 새마을금고, 신협중앙회, 우체국

4. 3년형 내일채움공제 예시

 

구분 근로자 부담금 기업 부담금 만기 시 수령액
월 34만원 납입 34만원 34만원 최소 1,224만원 + 운용 수익금

 


5. 누가 가입할 수 있을까?

 

중소·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는 기업 대표와 협의하여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후에는 원칙적으로 중도 해지가 불가능하며,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 중소·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 기업 대표(사업주)와 협의를 통해 가입 가능
  • 가입 기간 동안 중도 해지는 불가(예외 상황 제외)

6. 마무리

 

3년형 내일채움공제는 적은 부담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중소기업 근로자는 장기 재직과 자산 형성을, 기업은 우수 인력 확보 및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윈-윈 제도입니다. 가입 조건을 확인하고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