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법정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법정수당 계산기
mouthy
2025. 2. 13. 15:32
반응형
법정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장되는 필수 임금으로, 추가 근무를 한 근로자가 정당하게 받아야 하는 보상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계산법과 적용 기준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의 개념과 계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법정수당이란?
법정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회사가 근로자에게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수당을 의미합니다. 이는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추가로 일했을 때 적용되며,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으로 나뉩니다.
다만, 5인 이상의 근로자로 구성된 사업장에만 법적으로 적용됩니다. 5인 미만의 영세기업은 법정수당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2. 법정수당의 종류
연장근로수당은 법정 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 초과 근무 시 지급되며, 야간근로수당은 오후 10시~오전 6시 근무 시, 휴일근로수당은 주말·공휴일 근무 시 적용됩니다.
- 연장근로수당: 법정 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일할 경우 지급
- 야간근로수당: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 근무 시 지급
- 휴일근로수당: 법정 휴일(주말, 공휴일 등)에 근무할 경우 지급
3. 법정수당 계산 방법
법정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기본적으로 추가 근무 시간당 통상임금의 50% 이상이 가산됩니다.
계산 공식
- 연장근로수당 = (통상임금 × 1.5) × 연장 근무 시간
- 야간근로수당 = (통상임금 × 1.5) × 야간 근무 시간
- 휴일근로수당 = (통상임금 × 1.5) × 휴일 근무 시간
예제 1: 연장근로수당 계산
- 시급: 20,000원
- 연장근로: 2시간
- 연장근로수당 = (20,000 × 1.5) × 2 = 60,000원
예제 2: 야간근로수당 계산
- 시급: 15,000원
- 야간근로: 3시간
- 야간근로수당 = (15,000 × 1.5) × 3 = 67,500원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가 중복되는 경우 각각의 수당이 모두 합산되어야 합니다.
예제 3: 연장·야간근로 중복
- 시급: 18,000원
- 오후 6시~밤 12시 근무 (6시간 중 4시간은 연장, 2시간은 연장+야간)
- 연장근로수당 = (18,000 × 1.5) × 4 = 108,000원
- 야간근로수당 = (18,000 × 1.5 × 1.5) × 2 = 81,000원
- 총 추가 수당 = 189,000원
법정수당 계산기
4. 마무리
법정수당은 근로자가 정당하게 받아야 할 임금이며, 사업주는 이를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본인의 권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