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세2 일용근로자 소득 및 원천징수 일용근로자는 1년 미만의 고용계약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일용근로자의 정의와 소득 원천징수 계산법, 지급명세서 제출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일용근로자의 범위일용근로자는 동일한 고용주에게 1년 미만 고용된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주요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건설공사 종사자: 통상 동일한 고용주에게 1년 이상 고용되지 않은 경우.하역작업 종사자: 하역작업이나 단기 작업을 제공하며, 3개월 이상 고용되지 않은 경우.주로 근로계약이 정해져 있지 않고 단기 계약으로 일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2. 일용근로자 소득 원천징수일용근로자의 소득세 원천징수 계산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항목계산 방법일용근로 급여 지급액총 지급액비과세 소득(비과세 항목 참조)(-) 비과세 .. 2025. 1. 16. 2025 보육수당, 출산지원금, 육아휴직수당 비과세 제도 완벽 정리 2024년 1월 1일부터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과 더불어 출산지원금 및 육아휴직급여와 관련된 세부적인 비과세 규정이 개정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변경된 비과세 제도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연말정산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연말정산 간소화 개통시간 카운터00일 00시간 00분 00초 1.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월 10만 원 → 20만 원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회사로부터 지급받는 급여는 2024년부터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기존 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된 비과세 한도는 근로소득세에서 제외됩니다. 1) 적용 기준2024년 1월 1일 이후 지급분부터 적용됩니다.지급되는 금액이 월 2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서는 과세됩니.. 2025. 1. 1. 이전 1 다음